Home 교통사고감정 보행자사고
보행자사고
  • 차량의 전면부에 충돌하는 보행자는 충돌단계, 전도(비행)단계, 미끄러지고 구르는 단계 등 3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충돌단계 : 보행자는 자동차 속도와 유사한 속도로 가속되고, 신체의 일부가 범퍼, 전면부 끝단, 보닛 또는 앞 유리창과 접촉할 수 있습니다.

    전도(비행)단계 : 자동차가 제동하게 되면 신체는 자동차에서 분리되고, 자유낙하(비행)후 노면에 충격하게 됩니다. 자동차가 감속하지 않았다면 보행자는 자동차 위에 있는 상태로 이동하게 되고, 자동차가 최종정지위치로 이동하는 동안 그 경로의 어느 지점에 떨어지게 됩니다.

    미끄러지고 구르는 단계 : 노면에 충격된 이후 신체는 최종정지위치까지 미끄러지거나 굴러갑니다. 이 단계에서 보행자는 나무, 연석, 각종 기둥 등에 충돌될 수 있습니다.

  • 차 대 보행자사고는 차량과 보행자 사이의 1차 충돌과 보행자와 노면간 2차 충돌로 이루어지며 1차 충돌은 보행자에게 심각한 상해를 입히고 2차 충돌은 보행자의 운동역학 및 전도지점과 관련되어 있습니다.
  • 차 대 보행자사고는 주로 충돌지점, 보행자 충돌속도, 차량 운전자 입장에서 충돌회피의 시간적 여유가 있었는지 여부 등이 쟁점사항입니다.
  • 자동차 파손부위, 충돌속도, 보행자 전도거리의 관계 등을 근거로 한 보행자 사고분석 모형을 적용하여 충돌지점과 제동거리 및 운동량보존의 법칙 등 보행자사고의 특성을 종합하여 충돌속도 등 보행자 사고원인을 전반적으로 분석하게 됩니다.
관련영상
음주상태로 도로에 쪼그리고 앉아있던 보행자사고 사례입니다 사고를 회피할 수 있었는지가 쟁점사안이 되겠네요!
음주상태로 교차로를 무단횡단 보행자사고 사례입니다. 인지시간이 늦어진 요인이 있는 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