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me 교통사고감정 특수사고
특수사고
  • 급발진 정의 : 불상의 이유로 자동변속장치를 장착한 자동차의 구동력이 제동력을 초과하여 운전자 자동차의 급가속 운동을 제어할 수 없는 상태가 되는 것입니다.
  • 차량 속도가 높아지는 이유는 엔진으로 유입되는 연료량과 공기량 혼합이 최적의 조건이 되어 RPM이 높아지고 출력이 크게 오르면 높아집니다.
  • 기계식 연료분사방식은 엑셀레이터 케이블에 의해 스로틀밸브를 열고 닫고, 전자식 연료분사방식은 ECU가 스텝 모터를 구동시켜 스로틀밸브를 열고 닫는 방식이므로 스로틀밸브를 작동시키는 계통의 문제점 여부를 찾아야 합니다.
  • 급발진 추정 메커니즘은 ECU 오작동, RPM 상승, 자동변속기 제어장치(TCU) 오작동, 구동력 전달의 4단계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급발진 원인고찰
급발진 또는 오조작의 간접증명 방법
항목 구분
급발진 오작동 비고
1. 사고현장 ① 스커프마크 가속-스커프마크 가속-스커프마크 스카프마크는 구동력 전달흔적 두 경우 모두 발생 가능
2. 사고차량 ② 스로틀밸브 특이점 미식별 열린 흔적 스로틀밸브 열른 흔적과 가속케이블 구속 흔적은 구별
③ 제동등 영상 점등화면(주제동등/보조제동등) 소등화면 소등에서 점등전환 스로틀밸브 열른 흔적과 가속케이블 구속 흔적은 구별
④ 제동등 전구 점등충격(지지대) 소등충격(지지대) 제한적 배타성 / 비배타성
용융흔 특이점 미식별
점등충격(필라멘트) 소등충격(필라멘트) 제한적 배타성 / 비배타성
변형-늘어짐, 단선 변형없는 단선
3. 사고기록 ⑤ 사고기록장치 구동력-가속페달 이력 제동력-제동페달 이력 사고기록 테이블/그래프 분석
운행기록장치 속도/가속도 그래프등 속도/가속도 그래프등 운행기록 테이블/그래프 분석
영상기록장치 속도/가속도 그래프등 속도/가속도 그래프등 영상기록 테이블/그래프 분석
4. 운전자 ⑥ 신발바닥 제동페달 문양흔 가속페달 문양흔 배타성 고료가능/예외적 현출
비고

※ 스카프마크는 차량이 순간적으로 급출발하거나 급가속될 때 구동력이 전달된 흔적으로 시작점이 상대적으로 진하며 , 중간부분은 제동 스키드마크와 유사함

※ 타이어흔적은 2000년 중반부터 ABS가 기본으로 장착, 사고현장 타이어흔적은 대부분 스카프마크 임

※ 스로틀밸브 열린 흔적 : 가속케이블 구속 흔적과는 구별됨. 오조작 흔적임 오조작 흔적이며, 공회전 제어방식이 스로틀밸브 작동 방식인 경우는 예외임.

※ 제동등 전기회로 : 시동과 관계없이, 제동페달을 밟으면 바로 점등되는 구조
제동등 점등소등 : 제동페달 밟음|안밟음 판별의 필요충분조건(점등|소등⇔밟음|안밟음)
주제동등과 보조제동등 : 동시에 점등되거나 소등되지만, 각각은 독립된 위치에 설치됨

※ 제동등 영상 : 점등화면/소등화면, 완전히 배타적
제동등 전구 : 점등충격/소등충격, 제한적 배타성

※ 구분곤란 : 점등충격/소등충격, 운전자/관성력의 제동작용 엄밀 구분 곤란 정면충돌과 같이, 관성력의 제동작용에 의해서도 필라멘트 지지대 용융흔 발생 후면충돌과 같이, 점등부위 직접충격이 있는 경우에 필라멘트에서 특이점 식별

※ 전구구분 : 제동등(지지대 짧고 필라멘트 굵음)과 후미등(지지대 길고 필라멘트 가늠) 겸용

※ 사고기록장치 : KS R5076,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 충돌감지, ACU(에어백)와 센서 공유
운행기록장치 : KS R5072,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 충돌감지, 일정 시간 동안의 운행 정보
영상기록장치 : 내장된 가속도 센서로 충돌감지, 일정 시간 동안 영상 및 주행 정보

※ 운전방해 : 물병이 바닥 매트리스의 제동페달 및 가속페달 간섭 가능성
조작미숙 : 변속레버의 조작 미숙 / 조작 오류
① 정차 중 또는 신호대기 중 N 위치
② 출발을 위해 가속페달 밟음
③ 정지 상태에서 굉음 발생
④ D로 전환하면서 급출발 또는 급발진

관련영상
급발진 의심사고 분석 사례입니다.
제동되지 않았다고 주장하는 사고 영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