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반적으로 교통사고는 충돌에서 정지까지 약 2~3초 내외로 짧은 시간에 상황이 종료 되기 때문에 사고당사자나 목격자 등이 충돌전후 상황을 정확하게 진술하거나 사고 전체를 목격하는 것은 어려운 경우가 많고, 때로는 사고당사자나 목격자 등이 상황을 제대로 기억하지 못하거나 상황이 종료된 후에 확인하거나 목격한 내용을 기초로 자기합리화 또는 상상을 더해 설명하기 때문에 조사자의 실체적 진실규명에 혼란을 야기하기도 합니다..
- 그러나 짧은 시간에 상황이 종료되더라도 대부분 교통사고는 위험인지, 반응, 회피(제동, 조향 등), 충돌, 분리, 회전, 정지 등 일련의 과정을 거치기 때문에 사고차량 최종위치 뿐만 아니라 노면흔적, 도로상태, 시설물 등에 대한 자료를 조사하고 정확히 측정하여 객관적, 과학적 입증에 필요한 증거를 확보함으로써 충돌전후 상황을 단계적으로 분석하게 됩니다.
- 사고현장에서 수집한 각종 증거를 토대로 하여 물리법칙에 타당한지 공학적 접근과 컴퓨터 시뮬레이션 분석을 통한 재현과 검증으로 실체적 사고원인을 규명하게 됩니다.
교통사고 자료조사 단계
01
사고당사자 진술
진행방향과 사고경위 객관적 확인
02
목격자・참고인 진술
사고당사자 진술과 연관 부합성 및 과학적 역학관계
03
도로교통상황・안전
시설물 등 관계
시설물 등 관계
우선권유무와 주의의무 적용
04
사고차량 손상 모습
진행방향과 충돌자세 확인 및 최초접촉과 최대접촉 분석
05
사고현장 노면흔적
진행방향과 충돌위치 및 특정한 사실관계 등 확인
06
사고현장 유류품
진행방향과 충돌위치 등 이동상태 확인 채증법칙 확보
07
사고차량 최종위치
진행방향과 충돌위치 등 전후방각도, 역학적・공학적 관계 분석검토
합리적 관계와 채증법칙 분석확보
합리적 관계와 채증법칙 분석확보
7단계 원인규명 객관적 조사방법
01
인지가능지점
(간접상황 관계)
(간접상황 관계)
진행방향과 교통의 흐름 등 주변관계
전·후, 좌·우 관계 운전자 특정행동 파악
전·후, 좌·우 관계 운전자 특정행동 파악
02
발견지점
(상황변화 행동관계)
(상황변화 행동관계)
진행방향과 전·후, 좌·우, 앞·뒤 관계 및 변동관계
03
예방지점
(사고이전 전・후 관계)
(사고이전 전・후 관계)
진행방향과 전·후, 좌·우, 앞·뒤 관계 및 주위의무
04
인지지점
(직간접 사고관계)
(직간접 사고관계)
진행방향과 전·후, 좌·우, 앞·뒤 관계 확인 후 사고 직전관계
05
회피지점
사고직전과 직후 변동 이동관계 및 주행변화 연관성
06
접촉지점
최초 접촉지점 및 최대 접촉지점 확인 사고변화 연관관계
07
정지지점
(공학적・역학적 관계)
(공학적・역학적 관계)
진행방향과 전·후, 좌·우, 앞·뒤 관계 확인
운동법칙 연관성 과학적 분석 검토
운동법칙 연관성 과학적 분석 검토